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케이팝 시장에서 5060 중장년층이 '큰 손'으로 떠올랐는데요. <br> <br>막강한 구매력에 '팬덤 경제'라는 말이 생겨날 정도입니다. <br> <br>경제 카메라, 신선미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가수 임영웅 공연장, 전국 각지에서 부모님 팬들이 구름떼처럼 몰려들었습니다. <br> <br>[임영웅 팬 / 부산 ] <br>"부산에서 17명 왔어요. (돈이) 아깝지 않아요. 영웅이 볼 생각에 너무 좋아요." <br> <br>[임영웅 팬 / 서울] <br>"지금 이 나이에도 옛날에 못 느껴보던 그런 설렘 이런 감성을 자극하더라고요. (연세가 어떻게 되시죠?) 이제 70을 바라보죠." <br> <br>공연 전부터 포토존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응원봉이나 키링, 파우치 같은 굿즈도 한 보따리 삽니다. <br> <br>[김도연 (엄마) / 김랑희 (딸)] <br>"티셔츠, 응원봉, 가방… (누굴 위한 거죠?) 엄마 거요. (오늘 얼마나 구입하신거예요?) 50만~60만원어치 되는 거 같은데." <br> <br>기념 티셔츠와 후드티는 공연 시작 3시간 전에 이미 다 팔렸습니다. <br><br>중장년층이 K팝 시장 '큰 손'으로 부상하면서 임영웅 신곡은 올해 발매된 곡 중 가장 빠르게 음원시장 1위를 차지했습니다.<br> <br>팬심으로 차트 순위를 올리려는 팬들은 카페에 모여 '스터디'도 마다하지 않습니다. <br> <br>[채희정 / 임영웅 팬카페 사장] <br>"공부방은 스터디 샘이라고 오로지 자원봉사거든요. 저기 두 분도 벌써 오신 지가 2시간 됐는데 계속 배우고 계신 거예요." <br> <br>[이명숙 / 서울 광진구] <br>"도와준대. 나는 할 줄을 모르고 근데 기왕이면 내가 팬이니까 투표는 하고 싶은데 (알려주니) 얼마나 좋아." <br><br>5060세대 월 평균 음악 콘텐츠 이용시간은 아이돌 그룹 수요층인 10대보다 2배나 높습니다.<br> <br>[김애선 / 미국 시카고] <br>"눈 뜨자마자부터 이제 투표부터 시작해가지고 유튜브 계속 음악 듣고 그냥 삶 자체가 포커스가 그렇게 돼 있어요." <br> <br>5060 팬덤의 파워는 소비와도 직결됩니다. <br><br>자동차는 물론 죽과 간장, 샴푸, 커피머신 등 분야를 막론하고 임영웅이 떴다 하면 '매출 상승'으로 이어지며 팬덤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습니다.<br> <br>[임영웅 팬 / 경기 시흥시] <br>"샴푸 같은거, 간장, 죽 이런것도 사서 다 돌리고, 영웅 님이 하니까 더 사게되죠 아무래도." <br> <br>[전영자 / 서울 송파구] <br>"(다른) 간장 먹은 지가 50년은 더 됐어요. 근데 그걸 바꿨다라는 거는 우리 딸 말대로 엄마 대단하다. 그냥 우리 영웅이가 광고 한 거면 다 그냥 바꿉니다." <br> <br>시니어 팬에게는 10~20대 팬들에겐 없는 강력한 무기, 시간과 경제력이 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[이은희 /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] <br>"과거의 시니어는 돈이 없었어요. 그런데 이제 지금 5060은 대학 졸업자의 수도 많고요. 경제적으로 재정적으로도 상당히 안정되고." <br> <br>효도 공연을 보던 수동적 소비자였던 시니어들이 적극적인 구매자로 나서며 팬덤 시장에서 문화적 영향을 넘어 경제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신선미입니다. <br> <br>연출 : 박희웅 김태희 <br>구성 : 강전호<br /><br /><br />신선미 기자 new@ichannela.com